어항 내에서 혐기성 여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 feat 무환수, 질산염 제거
여과란 뭐지? 우리가 물생활하면서 말하는 여과는 생물막법을 이용해 암모니아,아질산, 질산염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해요. 보통의 가정에 있는 어항 환경에서는 호기성 질화세균에 의해 암모니아가 아질산으로 아질산이 질산염으 전환되는 여과과정만 발생하며 질산염은 보통 '환수'라는 행위를 통해 제거해요. 혐기성 여과 작용은 어떤 원리로 이뤄질까? 혐기성 여과에 대해서 알기 위해서는 혐기성 여과작용을 하는 탈질균에 대해 알아야 해요. 탈질균은 NO3- 또는 NO2- 를 환원시켜 N2또는 N2O와 같은 기체를 생성하는 균이에요. 탈질균은 호기성 환경에 노출되었을때는 용존산소를 이용하여 생활하지만 혐기성 환경이 되면 NO3- 과 NO2- 같은 결합형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이용하여 생활하는 통성 혐기성 균이에요. 어항 내에..
반려동물./물생활.
2020. 1. 22. 1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