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훈씨가 '말하는 대로'라는 프로그램에 나와서
청년들에게 한 강연이에요.
좀 길지만
전문을 다 적었으니
처음부터 다 읽어보면 좋을듯 해요 ㅎㅎ
그럼 한번 감상해 볼까요?
저는 말하는대로 라는 프로그램을 굉장히 즐겨 보고 있는데요
처음에 나와달라고 했을 때
굉장히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왜냐하면
사실 요즘 시대가....
특히 젊은 분들한테
꿈, 희망, 이런 걸 계속 얘기하는
사실 그런 흐름이 많잖아요.
그런데
저는 그런 얘기를 원래 잘 하지도 못할 뿐더러
저의 평소 생각은
말로만
'응원한다', '힘내라' 하는게
무슨 의미가.......ㅎㅎㅎ
말로만 하는 응원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라는
그런 생각을 조금 해요.
그래서 저는 오늘
꿈, 희망
이런 얘기는 오늘 안 드리려고 해요
그리고
여러분들이 들을때
그렇게 막
따뜻하고 이런 얘기가 아닐수도 있어요.
제목을 제가 그렇게 지어봤어요.
'냉정과 열정사이'
저는 사실
원래 한국을 대표했던 농구 선수 였습니다.
제가 오늘날 우리나라 프로농구에서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사람입니다.
그것도 압도적으로.
그래서 건물을 샀어요ㅎㅎ
그런데
지금까지 제가 넣은 점수를 정확하게는 저도 모르겠는데
만삼천몇백점인데
제가 프로선수 생활을 15년 했거든요.
15년동안 매일 20점씩 넣으면 그렇게 돼요.
평균 20점 득점이라는 건
그날 굉장히 칭찬받아 마땅한 점수인데
제 선수생활 동안 매일 20점씩을 한거죠.
첫날부터 그만두는 날까지.
제가 압도적으로 다른 선수들에 비해 점수를 많이 냈고
그래서 많은 분들이 저를 알게 됐고
지금 방송도 할 수 있게 됐는데
그렇게 까지 하기가
쉽지 않았어요 정말.
농구를 내 직업으로 해야겠다라고 생각한 이후부터 지금까지
제 인생의 꿈은 오로지 한 가지 였어요.
'정말 압도적인
아무도 범접할 수 없는 선수가 되야겠다'라는게
제 꿈이였어요.
그냥 1등이 아니라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선수가 되고싶다'
라는게 저만의 꿈이였어요.
그렇게 되기 위해서
제가 다른 사람보다 가장 노력하고 연습을 많이 했다고는 얘기 못해요.
근데 아마
다른 사람에겐 없는게 저에겐 있었을 것이에요.
저는 끊임없이 제 스스로
'아 왜 그것밖에 못 했을까?'라고
정말 냉정하게 제 자신을 평가했어요.
선수생활 내내
제가 현역 선수였을때 보통 20점정도 했어요.
20점 정도 하면 기사가 나요.
'오늘의 수훈 선수는 ㅇㅇㅇ'라고
잘했다고 칭찬하고
15년동안
단 한번도 시합이 끝나고 돌아가서
거기에 만족을 해 본 적이 없었던 것 같아요.
감독,코치님이 잘했다고 하고
옆에서 친구들이 잘했다고 하고
그래도
늘 엄청나게 후회했어요.
아까 저런 바보같은 짓을 안 했으면
20점이 아니라 30점 40점을 넣을 수 있는 건데
'아, 나 왜 저것밖에 못 했을까?'라고
밤에 그날 경기 영상을 돌려보면서
늘 반성을 했어요.
매 시합마다.
나 혼자 전쟁을 한다라는 느낌이 들 정도로
굉장히 치열하게 살았고
혼자있는 공간에서 스스로 끊임없이 자책했어요.
30점40점 득점을 한 날도
이것밖에 못하면
난 앞으로 선수생활 끝날때까지
그냥 이러다 마는 선수가 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끊임없이 해왔어요.
그러고 매일 나가면
다시는 오늘 한 바보같은 짓을 하지 않겠다고
다시한번 생각하곤 했어요.
그래서 제 농구인생이 그렇게
즐겁고, 기분좋은 일만은 아니었어요.
너무 하루 하루가 힘들어서
T.V에 제가 뭐 '결벽' 이런거 많이 나오자나요.
그게 다 그때 생긴거에요.
왜 생겼냐
내가 이렇게 까지 하고 싶다면
마치 전쟁에 나가는 장수의 심정처럼
내가 내 방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내 몸을 깨끗하게 씻고
구도자의 자세로
경기를 신성시 하면서 오늘 시합을 해야겠다면서
해왔던 일이
점점점점 커져서
그 많은 징크스들이 '결벽'이라는 습관이 되어서
아직도 제가 은퇴 해서도 그러고 있는데
모두 다 거기서 비롯된 거예요.
늘 같은 시간에 일어나고,
늘 같은 시간에 밥을먹고,
같은 시간에 화장실에 가고,
같은 시간에 씻고,
같은 옷을 입고,
같은 신발을 신고
내가 가장 편한 마음과 자세로 경기에 갔어요.
늘!
그렇게라도 하고 싶었어요.
간절하게.
지면 옷을 버렸어요.
다신 안입었어요.
이상한 일이지만
그렇게라도 하고 싶었어요.
또 질까봐 겁나서
자유투라고 아시죠?
슛을 쏘기전에
공을 한번 두번 세번 튕겼는데
슛이 들어갔어요.
그러면 그 후론 안 들어갈때까지
세번만 튀겼어요.
그러다 안들어가게되면 다른 숫자를
안들어가면 또 다른 숫자
말같지도 않은 얘긴데
정말 그렇게라도 넣고 싶었어요.
그런 마음으로 경기를 했어요.
제가
은퇴할 때 했던 얘기가 하나 있어요.
앞으로 평생
평생을 후회하면서 살것같다는 얘기를 했어요.
제가 예전에 조금 더 몸관리를 잘하고
조금 더 노력하고
술을 조금 덜 먹고
그랬다면
만삼천점이 아니라 이만점도 할 수 있었을텐데 라는
후회가 너무 밀여와요.
은퇴하고 나니까
이제 더 하고싶어도 못하니까
그래서 은퇴 후 T.V농구 중계를 보면
'몸 좋고, 젊을때 좀 더 잘할걸'
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즐겁게 못봐요.
은퇴를 한 지 벌써 이제 4년이 다되가는데.............
이렇게 말씀을 좀 드릴게요.
여러분들이 모두 다 이런 생각으로 살 필요는 전혀 없어요.
사람마다 자기가 생각하는 목표나
행복의 기준이 다 다르잖아요.
전부 다 기준이 달라요.
그러나
자기가 어떤 일을 하든지
본인이 하는 일에서
'내가 최고의 성가를 내보겠다'
'내가 장인 또는 최고가 돼보겠다'
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제 얘기가 조금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자기의 '꿈'이랑 가까이 다가가려면
자기 자신에게 한없이 냉정해져야 한다고 믿어요.
제 경험을 통해서
아무리 누가 옆에서
"그 정도면 충분해"
"그 정도면 잘하는거야"
라고 할때
이걸로 만족한다면
발전이 없어요.
'I Am Still Hungry'
라는 말 아시죠
계속 배가 고프고
계속 무언가를 갈구해야만
더 '스텝 업'이 된다고 생각해요.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트렸다'라는 말 많이 하잖아요.
샴페인을 오래 두면 가치가 더 뜁니다.
그죠?
그러니 샴페인 따는 건
조금 아껴놓고
제가 오늘 제목이
'냉정과 열정 사이'라고 했잖아요
여러분들이 갖고 계신 열정은
그대로 두시되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는
정말 냉정하고 박하게 하면
그 냉정함과 열정 사이에서
여러분들이 원하는 서에
훨씬 더 쉽게
도달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어서
오늘 여러분들에게
주제넘게 이런 말씀을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역시 감동적인 강연입니다 ㅎ
정말 진심어린 서장훈씨의 마음이 느껴지네요.
갑자기 너무 간절함 없이 살아온 제 삶이 부끄러워 지는듯 합니다.
다시 한번 심기일전해서
하루 하루 헛되이 보내지 않고
의미있는 나날들을 만들어 봐야 겠어요 ㅎ
https://hobbypeople.tistory.com/29
서장훈 명언. 노력하는 자가 즐기는 자를 못 따라간다구?
안녕하세요. 오늘은 마음에 와 닿는 글이 있어 공유해보려고 해요. 바로 서장훈씨가 청페에서 했던 말인데요 너무 공감 되더라구요. 그럼 서장훈씨의 강연 전문을 한번 읽어볼까요? 무책임하게 여러분들을 응원한..
hobbypeople.tistory.com
홍대 술집 김일성 부자 인공기 사진. 홍대 술집 (0) | 2019.09.16 |
---|---|
체력 기르는 운동법. feat 버피테스트. (0) | 2019.09.14 |
서장훈 명언. 노력하는 자가 즐기는 자를 못 따라간다구? (0) | 2019.09.10 |
진드기 물린 상처 경과 후기. feat 살인진드기? (0) | 2019.09.09 |
이너 뷰티[Inner Beauty]가 뭐지? (이너뷰티 의미) (0) | 2019.09.09 |
댓글 영역